무자보(1768) | 교동인씨 역사 > 교동인씨 가장록 > 무자보(1768) | ||||||||||||||||||||||||||||||||||||||
|
54세손 덕산파 상덕
아아! 거문고는 거문고의 족보가 있고 바둑(碁)도 바둑의 족보가 있으니 족보란 것은 그 핏줄(脉絡)의 엉킴을 찾아서 이치(條理)를 잃지 않음을 이르는 것인데, 사람으로서 족보가 없다면 도리어 거문고나 바둑 같은 완구(完具)만도 못할 따름이니 부끄러움을 참을 수가 있겠는가? 대개 말하건대 우리 일가의 선대(前世)의 지내 온 것이 선천(先天)의 일과 같아서 이야기 하려 하매 마음만이 한심할 뿐으로 자손들도 시골에 묻혀서 오래도록 훌륭히 되지 못했으나 다행히 그 숫자는 심히 적지는 않았는데 족보가 완성되지 않았고 간행본(刊行本)이 남아 있지 않은 것은 무슨 까닭인가? 슬프다! 연대가 멀어질수록 없어지고 자손이 번성치 못하여 전해오던 책을 잃어버려서 그리 된 것이냐? 여러 번 난리를 지내오며 각자 살기에 쫓겨 미처 만들 겨를이 없어서 그리된 것인가? 진실ㄷ로 고증하지 못하노라. 그런데 이 얼마나 다행인가! 근자에 여러 종친이 비장한 마음으로 정성을 모아 족보 간행을 기약케 되었다. 두루 역사책을 증거하여 누락된 부분을 보충하고 마음과 힘을 다하여 법과 조례(規例)를 정하였으나 이는 오늘날 우리 세대에서 감당해 낼만한 일이 아니었다.
더욱이 불초한 나에게는 학식도 없고 성의도 적어서 이러한 큰일을 감당할 자격이 없으나 종법(宗法)이 지극히 후하여 버리지 않고 한 가지 책임을 맡기므로 뒤에서 따라다니면서 지도에 따라 일하다가 오늘날 이 성사(盛事)의 완성을 보게 되니 다시없는 영광과 다행으로 여긴다. 그러나 여러 임원의 효심과 우리 선조 영혼이 굽어보시고 도우심이 없었다면 어찌 이에 이르게 되었으리요. 이후로 거문고나 바둑만도 못하게 되는 수치를 면할 수 있게 된 것을 알아준다면 그 기쁨을 이기지 못하겠기로 감히 이에 쓰노라.
55세손 덕산파 언경
아아! 우리의 시조(鼻祖)이신 아찬공(阿餐公 : 東萊始祖)의 이름은 서(瑞)이신데, 예부터 가보(家寶)중에는 단(端)으로 써 내려왔다.
‘端’자와 ‘瑞’자가 立과 玉변이 魚자와 魯자 같이 서로가 다른데 우리 자손들이 그릇된 것을 진실로 알아서 오래도록 분별하지 못하였으니 슬프다! 난리 끝에 자손의 미약함이 우리 일가 같은이가 없다 하겠다. 그러므로 족보가 이로 인해 보존되지 못하여 문헌도 이로 인해 증거할 수 없으니 立과 玉변의 오차(差誤)도 의심치 않았다가 요즈음 교동 일가에게서 진보(眞寶)를 얻어 보니 瑞로 쓰여 있고, 또 다른 서적을 봐도 또한 부합하여 틀림이 없으므로 비로소 전에 잘못 써 온 것을 깨닫고 드디어 옳게 고치는바 아찬공(諱瑞)으로부터 어사공(御史公 : 휘毅)에 이르기 까지 연대와 계파(系派)가 모두 전해옴이 없으매 마음이 서늘하고 이마에 땀이 솟는 심정이다. 그러나 이것은 병계(屛溪) 윤선생의 말씀처럼 형세인지라 형편이 그러하니 어찌 할 수 없는 일인 것이다. 그리하여 종파와 지파를 구별하고 소목(昭穆 : 즉 行列)을 가려서 길이 전할 가 보를 만들었으나 이것이 옳은 것인지 알지 못하겠다. 다른 사람의 집안에 이러한 일이 있겠는가고 말하매 월성후인 이해망(李海望)이 말하기를 “그러하다 세상에 파계(派系)를 잃은 이가 손가락으로 꼽을 수가 없는데 우리 집안도 또한 그러하여 아직까지 중대선조(中代先祖)로써 맨 처음의 시조 아래에 기록하였으니 실로 귀종(貴宗)의 일과 같은 것이다. 그러나 이미 잃어버린 족보는 반드시 증거할 수 없는 것이나 대개 말하건대 인씨는 신라와 고려로부터 국초(國初)에 이르기까지는 이름 있는 큰 벼슬이 세대마다 혁혁하여 오다가 근래 비록 잠시 침체하나 대성(大姓)의 후예에 못지않고 모두 농사 지어 밥을 먹는 형편으로 능히 재력을 모아서 전 세대에서 하지 못한 일을 훌륭히 해내고 있으니 효성스럽고 어진 일이로다. 족보란 것은 근본을 돌이켜 보고 후손을 열어 주는 길인 것이니 후손을 열어 주는 것은 어찌해야 하는 것인가? 즉 돈목을 펴는 것이며, 근본을 돌아봄은 무엇인가? 멀리 추모하는 것이라 하겠다. 만일 멀리까지 추모치 않는다면 그 옛 조상을 잊게 됨이요. 또 일가에 돈목을 펴지 않으면 이는 사람이라 할 수 없으니 이 친하게 지내야 하는 의리로 미루어서 자손에게 계승케 하는 방향으로 열어 주는 것이 어떠하냐고 하였다. 이에 내가 감탄하여 다시 말하기를 “훌륭하도다. 이 말씀이여! 아찬공(이름 瑞) 이하로부터 비록 누락된 세대가 많으나 지금의 인씨 성이 된 사람은 우리 선조 어사공(이름 毅)의 자손이 아닌 이가 없으니 친구의 말과 같이 하여 추모와 돈목의 뜻을 펴 나가면 비록 백세의 먼 세대에 이르러서도 노상에서 만난 사람의 처지가 됨을 면케 되리라”라고 하였다. 오직 기원하노니 모든 종친은 내 말이 외람되다 여기지 말고 더욱 힘써 지킬 지어다.
55세손 덕산파 언기
일찍이 듣건대 뿌리가 깊으면 잎새가 무성하고, 근원이 멀면 흐름이 멀리 간다하더니 이제 우리 인씨에게서 증험하겠도다. 옛적을 살펴 보건대 진나라 혜제(晋 惠帝)때 서(瑞)라는 어른이 계셨는데 풍익대부(馮翊大夫)로서 신라에 사신으로 나오셨다. 왕이공경하고 중히 여겨 아찬(阿餐)에 배(拜)하고, 교동백(喬桐伯)에 봉하였으니 이 분이우리나라 인씨의 시조이시다. 그 후 난리로 인하여 세계(世系)를 잃게 된 기간이 八백여년에 이르게 되었다.
고려 때에 이르러서야 먼 후손 의(毅), 양(亮), 대신(大紳), 공수(公秀) 등 네 분께서 연하여 인종, 명종, 고종, 원종의 네 조정을 섬겨 벼슬이 모두 혁혁하였고, 또 우정승 후(候)와 좌정승 승단(承旦)에 이르러서는 더욱 크게 현달하였으며, 또 내려와서 한림학사 휘빈(翰林學士 諱邠)과 부원군 휘당(府院君 諱璫), 이부시랑 휘해(吏部侍郞 諱海)이후에 이르러서는 비로소 이씨조선에 들어왔으니 대개 상하(上下)로 천년간에 이름난 벼슬(名公巨卿)이 대대로 끊어지지 않았으니 이것이 어찌 뿌리가 깊어서 잎새가 무성하고, 근원이 멀으매 흐름이 길어진 증거가 아닌가? 그러나 세대가 멀어서 훌륭한 벼슬이 면면(綿綿)하였으나 세족(世族)이라고만 할 따름이었다. 그것은 반드시 업적이 모든 서책에 나타나고 글들이 음악에 까지 오른 뒤라야 후세에서 칭송하고 문헌에서 유명케 되는 것인데 좌정승공(이름 候)께서는 충렬왕이 원(元)나라에 가는 때를 당하여 일대의 명신인 여흥부원군 민공과 덕성부원군 장공(張公)과 같은 모든 어진 이와 함께 수행하여 임금을 돕고 국민을 편안케 하여 자주 고려사와 동국통감에 나오니 그 업적을 가히 볼 수가 있으며 학사공(이름 邠)께서는 시(詩)로써 세상을 진동하였으니 앞서서는 이대간(李仁老)의 파한집에서 공의 절간 누각벽의 시(詩)에 대하여 크게 칭송하여 이르기를 “명성 아래에는 실로 헛된 선비가 없다”하였고, 후세에서 서사가시화(徐四佳詩話)에서는 이태백의 심양감추시(潯陽感秋詩)와 소동파의 수옥정시(漱玉亭詩)를 평론하면서 학사공의 추우시(秋雨詩)에 이르러서는그 청신하고 우아함이 위의 두 노대가에 뒤지지 않는다 하였으며, 또한 동국문선(東國文選)에 까지 들어가 있으니 그 문장을 가히 알만하도다. 그러면 우리 인씨가 옛 문헌에서 명문이라 이른 것이 진실로 거짓이 아닌 것이다. 근래이후로 여러 세대를 현달치못하였으나 외손들은 재상과 문장가와 학행(學行)으로써 세상에 저명한 이가 많으니 이 또한 잎새가 무성하고 흐름이 긴 이치가 안팎에 차이가 있지 않으냐? 돌아보건대 불초한 우리가 끝의 지엽으로서 시골에 표류한 지가 수백 년에 이르렀으되 겨우 보성명(保姓氏)만 하고 있는 처지이나 수치스런 지경에는 이르지 않았으니 이 또한 다행이다. 오직 한 가지, 씨족의 대동보(全譜)를 마련치 못하고 다만 가승(家牒)에만 의존해온지가 오래되매 이 때에 이르러서도 보계(譜系)를 밝혀서 일가를 수합하지 않으면 세대가 더욱 멀어질수록 유실(遺失)이 많게 되어 비록 같은 뿌리와 같은 근원이라도 장차 흘러온 곳을 알지 못하게 될 것이다. 이를 두려워하여 여러 종씨와 함께 금액을 규합하여 족보를 발간하여 각파에서 잘 지키도록(世守)하노라. 오직 기원하노니 여러 종씨(宗氏)는 위로 선대의 덕을 추모하고, 아래로 오는 후손에 도움 되게 하여 잎새가 더욱 무성하고 흐름이 더욱 길게 함을 가르쳐서 뿌리가 깊고 근원이 먼 뜻을 저버리지 않게 한다면 다시 유감이 없을 것이다. 슬프다! 불초가 한 가닥의 고루한 사람으로서 외람되이 보소의 일을 관장하였으므로 간략히 수보(修譜)의 전말(顚末)을 적지 않을 수 없어 감히 망녕됨을 헤아리지 않고 삼가 위와 같이 뒤 끝에 쓰는 바이다.
55세손 덕산파 명신
인씨의 선대는 동래시조 교동백(이름 瑞)으로부터 우리나라의 성씨가 되었으나 그 윗대는 자세히 알 수가 없다. 책에 의하면 정나라 목공(鄭穆公)의 아들에 자인(子印)이 있었고 그의 손자가 조부(王父)의 이름자로써 성씨를 삼으니 인단(印段)이 이 분으로서 실로 득성(得姓)의 시조가 되는 것이다. 그러나 연대가 아득하매 어찌 가히 증거 하리요. 삼국시대 이래로 여러 번 난리를 만나 보첩이 전치 못하였다. 고려시대에 이르러서는 훌륭한 분들이 이어서 나오신 후로는 파계(派系)의 멀고 가까움과 자손의 많고 적음을 비로소 고증할 수 있었다. 족조(族祖)이신 유장(有章)씨와 족형 언신(彦信)이 여러해 정성을 쏟아 여러 서적을 모아 서로 편집하시매 이에 실마리를 잡아 족히 전할 만하였다. 그러나 인쇄비용이 마련되지 않아 다만 상자속의 사고(私稿)일뿐이었다. 명신(命信)이 자신의 노고를 돌보지 않고 인쇄하여 전하고저 임오년으로부터 시작할 것을 발의하여 두루 종인(宗人)에게 전하매 호서지방으로부터 호남에 이르기 까지 즐겨 응낙하지 않는 이가 거의 없었다.
각파의 계보(系譜) 및 수합된 금액이 계속하여 들어오매 드디어 족형 홍신(弘信)씨와 함께 힘을 다해 七년이 걸려 완성을 보게 되었다. 그러나 스스로 생각해 보건대 번잡하여 중용을 잃은 듯하고, 고증과 교정이 잘못된 점은 앞으로 종중에서 학식이 고명한 사람이 나와서 잊지 말고 증보(增補)하고 규명하여 고치는데 맡길 따름이다. 후일의 자손들이 증보 중간하여 이어 나간다면 전의 고루함을 삭제하여 완전한데 까지 이르게 될 것이다.
55세손 덕산파 홍신
슬프도다! 우리 집안에 본래 족보가 없었다. 일가 어른 유장(有章)씨가 슬피여겨 편찬에 뜻을 두어서 여러 종인(宗人)과 함께 유실(遺失)된 부분을 외워 찾아서(講求) 계파(系派)를 밝혀 중간(重刊)을 기약하다가 불행히 돌아가시니 이는 운수가 쇠퇴한 바로서 탄식할 겨를도 없는 것이었고 또한 오늘을 기대케 할 수가 없는 듯 하였었다. 대개 사람은 사람의 도(道)가 있은 후라야 사람이라 이르며, 도(道)는 도(道)의 근본이 있은 후라야 도(道)라 이르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 세상에서 사람을 대하고 모든 사물을 접(接)하는 일들이 어느 것이나 우리의 도(道)에 의(依)하지 않음이 없는 것인데, 이에 조상을 생각하지 않는다면 이는 도(道)가 되지 않는 것이며, 집안에서 보처자(宜妻保幼)하는 것만으로 즐거움을 삼는다면 누군들 그른 사람이 아니겠으며, 일가 간에 돈목치 않는다면 또한 사람이 되지 못하는 것이다.
그리고 일가 간에 돈목하는 길은 족보를 하는 것이 중요하며 족보를 하는 기본 정신은 오로지 조상을 생각함이라 하니 이 말을 믿을 만한 것이다. 족보는 사람에게 있어 서 하지 않을 수 없는 것이다. 그러나 우리의 일가에서 족보하자는 발의를 우리 선인(先君子)들께서 유의하셨던 것이나 성취하지 못했던 일이였으니 불초같이 성의가 적고 효심이 적은 사람이 편찬 정돈할 일이 아니었으나 다행히 여러 임원(執事)이 몸 바쳐 성력으로 애쓴 덕을 입어 족보가 비로소 인쇄되어 종통(宗統)이 거듭 빛나게 되었으니 어찌 우리 선조님 영혼의 도우심이 아니겠는가? 시전에 이르기를 “너의 조상을 생각하지 않을 것인가 그 덕(德)을 닦으라”하였으니 이 족보를 보는 사람이라면 가히 조상을 생각하고 덕(德)을 닦음을 알게 되어 서로 백세(百世)에 전해서 일본(一本)의 집안에 욕됨이 없게 한다면 진실로 다행이라 이르노라.
|